분야 | 과목명 | 내용 | 담당교수 |
---|---|---|---|
스마트 케어 융합 |
U-헬스케어 (U-Healthcare) |
Ubuiquitous-헬스케어는 혈압, 체지방등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모바일용 센서를 휴대폰에 연결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자가 측정을 하고 측정된 수치는 자동으로 주치의에게 전달되어 원격으로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교과목은 그러한 U-헬스케어 시스템 설계 방법을 다룬다. Ubiquitous Health Care is a system that monitors and measures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cesses through hand phone or hand-held devices, anywhere and anytime.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ferred to medical center to provide home care health service. In this course, we will study those health care sensing, measurement,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
조준동 |
휴대용 의료기기 (Mobile Medical Device) |
의료기기에 대하여 진단기기, 치료기기, 영상기기로 크게 구분하여 각종 기기의 기초원리와 그 침습적/비침습적 적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기존의 기계/전자 기기와 비교하여 의료기기의 특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기가 휴대용 기기로서 적용될 경우의 여러 현상에 대하여 학습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medical devices which is categorized into diagnostics device, therapeutic device, and imaging devices. The course covers fundamental of medical devices and its invasive and non-invasive applications. The course also covers characteristics of medical devices compared to traditiona electrical/mechanical devices. Finally, it covers issues related to mobile application of medical devices. |
박현진 | |
생체인식 및 감성케어 (Biometric Cognition and Emotional Care) |
심전도, 뇌파와 갈바닉 피부반응등의 센서로 생체 신호를 감지 한 후 패턴을 분석하여 사람의 감정, 의도등 내면적인 의사소통 요소를 정성적으로 판단하여 개인의 질병 예방 등 life style 변화와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를 탐구함. This course focuses on 1) obtaining various biomedical signals such as electrocardiogram, electroencephalogram, skin response by appropriate sensors, 2) analyzing the obtained signal using pattern recognition, and 3) exploring how the obtained information can be used for healthcare and life style enhancement. |
조준동 | |
UI/UX 디자인 융합기술 |
감성공학과 디자인 (Emotional Engineering and Design) |
인간이 제품이나 환경으로부터 인식된 감각 및 정보성을 측정 평가하여 디자인 작업에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함. This course covers methods to incorporate information and perceived cognition derived from products and environments into the design process. |
TBA |
감성디자인 트렌트 연구 (Emotional Design Trend Research) |
인간이 제품이나 환경으로부터 인식된 감각 및 정보자극이 개인의 경험을 통하여 축적된 기억에 반영되어 나타나는 느낌으로서 감성을 측정 평가하여 제품과 환경을 인간의 생활에 편리하고 안락하며 만족스럽게 디자인하도록 하는 전체과정 기획 및 실습. This course covers overall process of designing products and environments which are easy and comfortable to use. The process involves critically evaluating emotion from perceived cognition and information of products and environments. |
정지숙 / 이경현 | |
다중감각 HCI/UX (Multimodal HCI/UX) |
멀티모달(visual, auditory, and haptic) UI 및 HCI 평가 방법(cognitive workthrough, heuristic evaluation, review-based evaluation, model-based evaluation like GOMS or Keystroke models), 관찰 방법(think-aloud, protocol analysis. query technique(interview, FGI, survey), 심리학적 방법(EEG, MEG, GSR). This course covers multi-modal(visual, auditory, and haptic) UI evaluation methodologies-cognitive workthorugh, heuristic evaluation, review-based evaluation, model-based evaluation(GOMS or keystroke model), observation technique (think-aloud, protocol analysis), query technique(interview, FGI, survery), psychology technique(EEG, MEG, GSR). | 조준동 / 안드레아 비안키 |
|
인지과학 및 공학 (Cognitive Science and Engineering) |
본 강좌에서는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환경에서 인간의 학습과 수행에 관련된 주의, 기억, 학습, 문제해결, 실수, 의사결정, 지식 획득과 표상, 과제분석, 규칙 기반 전문가 시스템, 인공지능 시스템 등에 대하여 다룬다. This course covers theories and models of human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pertaining to complex interactions of human-machine systems in advanced technical environments: attention, memory, learning, problem solving, human error, and decision making; knowledge cquisition and representation; task analysis, functional requirements, prototype, design, and testing; rule-based expert systems,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
조광수 | |
지각 컴퓨팅 (Perceptual Computing) |
빅 데이터사용, 계산 및 저장환경 (Data Center), HCI 인공지능, 기계학습, 스트림 컴퓨팅, Neuromorphic Architecture에 대하여 학습함. This course cover following topics of perceptual computing; Use of big data, computation and storage of data centers, HCI,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stream computing, and neuromorphic architectures. |
조준동 | |
ICT 융합 기반기술 |
시각인지 및 감성 디스플레이 디자인 (Visual Perception & Emotional Display Design) |
감성적 시각인지 요소들에 대한 정량적 분석. 시각 정보와 사용자의 관계를 이해하는 시각 정보추구행동(Human Visual Information Behavior)모델. 양안 인지(binocular perception), 즉, Binocular disparity, binocular color
difference, binocular fusion, binocular rivalry 등을 활용하여 시각인지 및 감성전달 효율 확장에 대하여 학습함. 감성을 시각화하기 위한 시각 디자인의 기본 요소인 색과 인지에 대한 수학적 해석 방법, 다양한 색표시 체계, 목적에 따른 최적 색체계 적용 방법. UI 및 IT기기의 색채공학적 디자인 분석법에 대하여 학습함. This course covers following topics; Quantitative analysis of emotional visuo-cogntive elements, Human visual information behavior model which relates human user with visual information, binocular perception which includes binocular disparity, binocular color difference, binocular fusion, and binocular rivalry. This course also covers cognition of color and its mathematical properties, system of various colors, purpose driven system of colors, and analysis and design of color engineering of UI/IT products. |
송장근 / 신지태 |
모바일융합 컴퓨팅 (Mobile Convergent Computing) |
SW 개발 Rapid Prototyping, 모바일 프로그래밍 기초 및 실습(안드로이드,아이폰, 타이젠 등), 모바일UI/UX 실습, 모바일웹앱 실습, 표준화 동향, 휴먼감성인지를 위한 모바일/센서 이동성관리 기법에 대하여 학습함. This course covers following topics; SW development, rapid prototyping, basics of mobiel programming, mobile UI/UX implementation, mobile web implementation, trends in standardization, and management of mobility in mobile/sensor platform for human emotion cognition. |
정종필 | |
상황인지 UI (Ambient Intelligent User Interface) |
인프라 센서, 차량 상태 센서, 서라운드 센서 (레이더, 영상, 초음파 등)들을 활용하여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자가 진단 및 정보 제공, 상황 위험 경보. 사용자가 누구인지 인지하고 몸짓과 손짓 음성으로 컴퓨팅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해 사람과 디바이스간 상호작용 방식을 자연스럽게 만드는 음성인식(Speech Recognition), 손가락인식(Hand & Fingertracking), 얼굴분석(Face Analysis), 물체추적(2D/3D Object Tracking), 햅틱 & 제스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학습함. This course covers following topics; 1) real time self diagnosis and alert notification using various sensor including infrastructure sensors, automative sensors, and surround sensors, 2) natural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devices using speech recognition, hand and finger tracking, face analysis, 2D/3D object tracking, and haptic and gesture interface. |
홍광석 / 최병호 | |
사물 인터넷 (Machine to Machine Internet on Things) |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스마트 센싱 기술의 창조적인 융합을 통한 스마트 Everywhere 지원. 사물통신(M2M/IoT, Machine to Machine/Internet of Things)이란 센서모트(생체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 스마트모바일, 이동기기, 홈 정보기기 등을 중심으로 하는 사물간의 통신을 의미하며, 스마트 홈, 헬스케어, 스마트워크, 퍼스널케어, 그린수송, 그린에너지, 클라우드 서비스의 인프라 구축에 활용됨. 이러한 주제에 대하여 학습함. This course combines ubiquitous computing and smart sensing so that “smart everywhere” cane be attained. “Machine to Machine/Internet of Things” refers to communication between objects like sensormats(novel biosensor platform), smart mobile devices, and home information devices. “Machine to Machine/Internet of Things” can be used for smart home, healtcare, smart work, personal care, green transporation, green energy, and cloud services. |
이윤덕 / 신동렬 | |
IT 경영 | 다기준 의사 결정 기법 (Multi-Objective Decision Making) |
가중합계법, ELECTRE, PROMETHEE, Evamix, Regime, TOPSIS 등. Fuzzy 이론과 다기준의결정기법의 융합, Delphi technique. 불확실성 분석, 기초통계, 다변량통계법. 융합 제품 디자인 관리를 위한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의 적용에 대하여 학습함. This course covers following topics; weighte sum methods, ELECTRE, PROMETHEE, Evamix, Regime, and TOPSIS. The course also covers fuzzy theory, Delphi technique, analysis of uncertainty, basic statistics, multi-variate statistics, multi-criteria decision methods for managing product design process. |
이석규 |
CT 디자인경영 및 ECO 디자인 (ICT Design Management and Eco Design) |
1. 글로벌 ICT 브랜드의 디자인경영 전략을 분석하여 통일된 Brand Identity의 이미지 확립을 위한 세부 디자인 요소 연구
2. 글로벌 기업의 Eco Design 전략 및 다양한 Eco 제품의 사례를 연구한다. This course cover following topics; 1. Design business strategy for establishing Design Management of global premium brand and services, concept of design identity, and case study of successful brand design management strategy. 2. Case study of Eco design strategy for global brand, eco products & services Design |
이경현 / 정지숙 | |
IT 마케팅 전략 (IT Marketing Strategy) |
IT 시장 및 상품 분석마케팅기법, 차세대 개발 상품, 적용사례에 대하여 학습함. This course covers following topics; analysis of IT products and related markets, applying marketing strategy to next generation products, and case studies of IT product marketing. |
김윤배 | |
공통 | 영어논문/IT세미나 | 영어논문 작성법, IT 관련 융합분야 소개 | 오픈 |
휴먼ICT융합세미나 (Human ICT Convergence Seminar) |
휴먼ICT 융합분야 전반의 현황에 대하여 전문가를 초정하여 발표를 듣고 토론하는 세미나 과목임. This course is a seminar course focusing on the up-to-date research topics related to human ICT Convergence. An expert presentation will be followed by a discussion with the students. |
조준동 | |
창의 융합 open school (Creative Convergence Open School) |
스마트, 웰니스 핵심 가치분야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조적 과제 도출성과로 연결하는 하계 특별 프로그램(일반인 참가 가능). 산업체 인턴 2주 과정 포함. This course is a summer session focusing on team project ideation including 2-week intern courses. |
조준동 / 정종필 | |
Cyber Physical System 프로젝트 (Cyber Physical System Project) |
각종 센서 및 UI를 통해서 실제 현상과 교감하는 컴퓨팅 및 Electronic Prototyping 프로젝트. 즉, Cyber Physical System의 요소인 계산처리및저장, 융합 센서, UI, 통신 수단,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s, 마케팅 방법, 유지 보수 기술 등을 연결하고 통합하기 위한 최적화 기술을 팀 프로젝트로 운영되며, 산학연 프로젝트를 수행 This course is a project based course implementing electronic prototyping and sympathetic computing environment integrating various sensor and UI. This course deals with computation and storage, integrative sensors, UI, transportation,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marketing methods, mainetenace methods, all of which are major components of cyber physical systems. The course offered as a team project which may involve industrial partners. |
조준동 외 | |
융합형 캡스톤 디자인 (Convergence Capston Design) |
학생들의 최종 졸업 작품을 완성하는 프로젝트 과목으로 ICT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프로토타입 개발로 인류의 문화환경, 인간중심 사용자환경, Market특성에 따른 디자인 경영 전략등의 수립도 포함. 프로젝트 주제 :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따른 감성 케어, 유니버설 UI, 포스트 스마트 기기의 UX 제고. This course will provide interdisciplinary learning opportunities to acquire creative product design and service, development of technology experiences with emphasis on socio-cultural issues as well as convergent collaboration skills among design team members with diversetechnical and cultural views. |
조준동 / 이경현 외 | |
휴먼ICT융합프로젝트 (Human ICT Convergence Project) |
휴먼ICT 분야 관련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목임. 봄 학기에 열리는 과목이 휴먼ICT 프로젝트임. This course is a project course whose topics covers various areas of Human ICT Congernce. Human ICT Convergence project is offered in the spring semester. |
조준동 외 | |
휴먼ICT융합 산학프로젝트 (Human ICT Convergence Industrial Project) |
휴먼ICT 분야 관련된 프로젝트를 팀별로 수행하는 과목임. 관련 업체가 참여하는 산학프로젝트 과목임. This course is a project course whose topics covers various areas of Human ICT Convergence. The course is a team based project course where industrial partnership is mandatory. |
조준동 / 이성일 / 산학협력중점교수 |